구부 (口部)가 바로 세워지고 운두가 높은 큰 사발(沙鉢)로 굽다리는 낮다. 청화(靑畵)로 내저(內底)에 활짝 핀 정교한 화문(花文)을 외면에는 위 아래로 선을 두르고 구름과 학(鶴), 산(山)과 노송(老松), 사슴(鹿)과 불로초(不老草), 삼산(三山)과 대나무(竹)와 모란문(牡丹文)을 돌아가면서 원숙한 솜씨로 나타내었다. 특히 장생문(長生文)의 일종이 많아 19세기에 널리 쓰였던 무늬들이 잘 나타나 있다. 유색(釉色)은 담청(淡靑)을 머금은 백자유(白磁釉)로 전면에 시유되었다. 광주 분원요(廣州 分院窯)에서 제작된 이 사발은 비교적 큰 것으로 회화적인 필치로 전개되는 장생문과 모란(牧丹)ㆍ竹ㆍ三山의 문양은 단정한 그릇의 모습과 잘 어울리고 있다.